※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+운영체제 개인 공부 정리 내용입니다.
※진도는 하단의 혼공단 13기 커리큘럼을 참고해 주세요.
진도
저장 장치
전원을 끄면 사라짐 = 휘발성 저장 장치 = RAM
전원을 꺼도 유지 = 비휘발성 저장 장치 = 하드 디스크 / SSD / USB 등
* CPU는 보조기억장치에 직접 접근하지 못해서 일반적으로 RAM에 '실행할 대상'을 저장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.
RAM의 종류
- DRAM (Dynamic RAM)
- SRAM (Static RAM)
- SDRAM (Synchronous Dynamic RAM)
- DDR SDRAM (Double Data Rate SDRAM)
가장 대중적인 메모리는 DDR4 SDRAM 이다.
(실제로 16GB 두 개 구매해서 사용 중)
주소
물리주소 - 메모리 하드웨어 상의 주소
논리주소 - CPU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주소
메모리 관리 장치 (MMU) - 논리주소와 물리주소 간의 변환
캐시메모리
CPU와 메모리 사이에 위치
레지스터보다 용량이 크고 메모리보다 빠른 SRAM 기반 저장 장치
코어와 가장 가까운 순서로 L1캐시, L2캐시, L3 캐시 라고 호칭 *L = Level
L1캐시와 L2캐시는 CPU(코어)내부에 위치 L3 캐시는 외부에 위치
보조기억장치
- 하드 디스크 (HDD)
- 플래시 메모리 - USB, SD카드, SSD
*플래시 메모리는 3종류가 있고, SLC (1bit) > MLC (2bit) > TLC (3bit) 순으로 비싸다.
대용량 저장이 가능한 대신, 속도가 느리고 수명도 짧다. 대신 저렴!
입출력 장치
장치 컨트롤러 - 하드웨어에 연결,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주고 받는 역할
장치 드라이버 -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주고 받게 하는 프로그램 (ex 프린트 드라이버 설치)
기본 숙제
p.185 확인 문제 3번
주로 캐시 메모리로 활용됩니다. - DRAM
주로 주기억장치로 활용됩니다. - SRAM
대용량화하기 유리합니다. - DRAM
집적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. - SRAM
p.205의 확인 문제 1번
레지스터 - 캐시 메모리 - 메모리 - 보조기억장치
추가 숙제
RAID 정의 : 여러 개의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술
RAID 종류 : 레벨에 따라서 0 ~ 6이 있고, 파생된 10, 50도 존재. 레벨에 따라 장단점이 다르다.
- RAID 0 : 단순 나누어 저장 / 저장 정보가 안전하지 않음
- RAID 1 : 복사본 방식 = 미러링 / 속도가 0보다 느리고, 복사본만큼 저장용량이 적어짐
- RAID 2,3 : 현재 잘 사용되지 않음 (생략)
- RAID 4 : 복구를 위한 정보(패리티 브티)만 저장, 1의 보안판 / 패리티 저장 장치에 병목 현상 발생
- RAID 5 : 4의 보안으로 패리티 정보 분산 저장 방식
- RAID 6 : 5랑 같지만 서로 다른 2개의 패리티를 두는 방식 / 5보단 느림
공부 후기
설연휴를 즐기고 느즈막히 왔습니다. 😶🌫️
너무 즐겨버려서 문제였지만 4주차까지 미룰 순 없다는 의지로 정리했습니다.
저장장치 위주로 공부하다보니 입출력장치는 뒷전이 되어버렸네요.
'Study > 혼공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컴운] 6주차 - 메모리 관리와 파일 시스템 (0) | 2025.02.23 |
---|---|
[혼공컴운] 5주차 - 동기화와 교착 상태 (0) | 2025.02.18 |
[혼공컴운] 4주차 - 운영체제와 프로세스 (0) | 2025.02.18 |
[혼공컴운] 2주차 - CPU의 작동 원리와 성능 향상 기법 (1) | 2025.01.20 |
[혼공컴운] 1주차 - 컴퓨터 구조 (0) | 2025.01.13 |